TISTORY 바로가기
Candle
BLOG main image

Are you passionate? You lead.!

전체 (132)
네트워크 (13)
네트워크+ -ComTia- (11)
Unix(Solaris) (1)
리눅스(Redhat, Fedora) (6)
재테크 (13)
★ITnews★ (14)
대회, 컨퍼런스 등.. (7)
자격증(Net,Server등) (6)
잡동사니 (32)
나만의 콘서트 (0)
My Story (19)
책을 말하다. (9)
Visitors up to today!
Today hit, Yesterday hit
daisy rss
tistory 티스토리 가입하기!
'컴티아'에 해당되는 글 2건
2008. 3. 5. 16:48
 

2.1 MAC(Media Access Control) address와 그것들의 파트를 확인하라.

 컴퓨터가 네트워크상에서 서로를 구분하기 위해서는 모든 네트워크장비에 일종의 주소가 필요하다. 우리가 우편물을 주고받을 때도 받는 쪽 주소와 보내는 쪽 주소를 적는 것처럼 컴퓨터 네트워크 상에서 이 역할을 담당하는 것이 바로 MAC 어드레스이다. 보통은 IP주소를 보고 찾아간다고 생각하지만, 실제로는 MAC 어드레스를 보고 찾아 가는 것이다.

 MAC 어드레스는 총 48bit로 구성 되어있다. 이것을 확인하기 해보고 싶으면, Windows에서는 시작 -> 실행 을 클릭하고, 입력란에 cmd라고 입력한다. 그러면 도스창이 뜨게 되는데, 그곳에서 ipconfig /all 이라고 입력하면 볼수 있게 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윈도우즈에서 MAC어드레스와 아이피 확인>

위의 화면에서 Physical Address 의 오른쪽 16진수가 MAC어드레스이다. 이 16진수들은 전세계에서 단 하나 뿐이다. 위에서 말했듯이 총 48bit인데, 16진수로 나타낸 이유는 2진수로 표시하면 너무 길고 복잡해서, 사람이 좀 더 확인하기 쉽도록 16진수로 표시한 것이다.

MAC어드레스중 앞의 24bit(16진수 6개)는 제조사를 나타낸 번호이고, 뒤쪽 나머지 24bit는 제조사에서 부여한 번호가 된다.


참고로, 리눅스 및 솔라리스(유닉스)에서는 root 모드에서 ifconfig 라고 치면 나온다.

2008. 2. 4. 11:19
 

1.6 다음의 네트워크 구성요소들의 목적, 특징과 기능들을 확인하라.

Hubs

- 멀티포트 & 리피터 물리계층에 포함되어있는 장비

장점 - 싸다, 라우터와 달리 별다른 설정이 필요 없다.

단점 - 콜리전 도메인 영역 안에 있다.

-- 구내 정보 통신망(LAN) 전송로의 중심에 위치하여, 바큇살 모양으로 단말 장치를 접속하는 형태의 전송로 중계 장치로 데이터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방향으로부터 한곳으로 모이는 장소로서, 들어온 데이터들은 다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방향으로 전달되는 장치(OSI 1계층 물리)

Switches

- 멀티포트 허브의 단점을 보안 하고자 나온 장비이다. 특징으로는 각 포트마다 다른 콜리전 도메인을 갖기 때문에 콜리전(충돌)이 발생하지 않아, 여러대의 장비가 동시에 통신이 가능하다.

데이터 링크 계층에 포함되어있는 장비

장점 - 콜리전 도메인이 포트마다 다르다, 라우터와 달리 별다른 설정이 필요 없다.

단점 - 많이 싸지긴 했지만 허브보다 비싸다

-- 스위치는 루트, 즉 보다 명확히 말하면, 인접한 네트웍 지점 중 어디로 데이터가 보내져야하는지를 결정할 수 있는 장비인 라우터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네트웍과, 루트를 어떻게 결정해야하는지에 관한 지식을 요구하는 라우터보다, 스위치가 훨씬 단순하고 더 빠르게 동작하는 장치이다. (OSI 2계층 데이터 링크)

Bridges

- 스위치의 원조

특징으로는 스위치라는 장비가 나오기 전에 나왔기 때문에 개념적으로는 거의 비슷하지만 다른점 으로는 포트가 2개 이하라는 것이다.

장점 - 콜리전 도메인이 포트마다 다르다, 라우터와 달리 별다른 설정이 필요 없다.

단점 - 시대적 흐름에 사라지고 있다.

-- 하나의 랜을 이더넷이나 토큰링과 같이 서로 같은 프로토콜을 쓰고 있는 다른 랜과 연결시켜주는 제품을 말하며, 각 랜에 연결되어 있는 스테이션들은 프로토콜을 바꾸지 않고서도 랜이 확장되는 혜택을 받을 수 있게 된다. 브리지를, 당신이 누군가에게 보낸 메시지에 대해 같은 건물 내에 있는 랜으로 보내야할지, 혹은 길 건너 다른 빌딩 내의 랜으로 보내야할지를 판단하는 장치라고 생각해도 좋다. 브리지는 랜 상의 각 메시지들을 조사한 다음, 같은 랜으로 보내야할 메시지는 받아들이고, 연결되어 있는 다른 랜으로 보내야 할 것들은 넘겨주는 식으로 동작한다. (OSI 2계층 데이터 링크)

Routers

- 동일한 전송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분리된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장치로 네트워크 계층간을 서로 연결하고, 브로드캐스트(네트워크) 영역을 나눠줍니다. 라우터는 브리지가 가지는 기능에 추가하여 경로 배정표에 따라 다른 네트워크 또는 자신의 네트워크 내의 노드를 결정하고, 여러 경로 중 가장 효율적인 경로를 선택하여 패킷을 보낸다. 라우터는 흐름제어를 하며, 인터네트워크 내부에서 여러 서브네트워크를 구성하고, 다양한 네트워크 관리 기능을 수행한다.

브리지와 라우터의 차이점을 몇가지 살펴보면, 라우터는 네트워크 계층까지의 기능을 담당하고 있으면서 경로 설정을 해주는 반면, 브리지는 데이터링크 계층까지의 기능만으로 목적지 주소에 따른 선별 및 간단한 경로 결정을 한다. 그리고 라우터는 IP로 목적지를 결정, 브리지는 MAC어드레스로 목적지를 결정한다. (OSI 3계층 네트워크층)

Gateways

- 게이트웨이는 일반적으로 프로토콜을 달리하는 두 개의 네트워크(망) 간에 또는 두 망의 통신계층 간에 이종 프로토콜의 변환기능을 수행하는 장치/관문을 말한다. 즉, 두개 이상의 이질적인 망을 연결 키는 개체(entity)를 가리키는 매우 일반적인 용어이다.즉, 게이트웨이는 다른 네트워크로 들어가는 입구 역할을 한다고 생각하면 된다.

 라우팅의 관점에서 보면, 인터넷은 많은 게이트웨이 노드들과 호스트 노드들로 구성된 네트워크라 할 수 있는데, 네트워크 사용자들의 컴퓨터들과 웹페이지와 같은 콘텐츠를 제공하는 컴퓨터들이 바로 호스트 노드들이며, 일반 회사의 네트워크 내에서 트래픽을 통제하는 컴퓨터들이나, 인터넷 서비스제공자들의 컴퓨터가 바로 게이트웨이 노드들이다.

한 회사의 네트워크 에서는 게이트웨이 노드 역할을 하는 컴퓨터가 프록시 서버나 방화벽 서버의 역할을 함께 수행하는 경우도 종종 있다. 게이트웨이는 라우터나 스위치 등의 사용을 필요로 한다.

(OSI 4계층 트랜스포트)


※프록시 서버- 우리말로 하면 대리인, 중개인쯤 된다. 프록시 서버를 쓰게 되면 인터넷에 접속하여 사이트의 내용물을 볼 때 본인이 직접 접속하는 것이 아니라 프록시 서버를 거쳐서 들어오게 된다.

장점 - 개인PC -> 프록시서버 -> 웹 으 과정을 거치기 때문에 보안상 유리하다.

프록시서버에 저장된 캐쉬로 사이트에 접속하기 때문에 자주 가는 사이트의 경우엔 더 빠른 인터넷 이용이 가능하다.

단점 - 서버의 주소가 자주 바뀌고 처음 가는 사이트나 자주가지 않는 사이트 방문 시 느리다.


CSU / DSU (Channel Service Unit / Data Service Unit)

- 근거리통신망에 사용되는 통신기술로부터 나온 디지털 데이터 프레임들을 광역통신망에 보낼 수 있도록 적절한 프레임으로 변환하는 외장형 모뎀 크기의 하드웨어 장치이다. 예를 들어, 만약 자신의 집에서 웹 관련 비즈니스를 하려면 T-1 정도의 디지털 전용회선을 전화회사로부터 빌려야하는데, 이때 자신의 집과 전화회사에 각각 1개씩의 CSU/DSU를 설치해야한다. CSU는 광역통신망으로부터 신호를 받거나 전송하며, 장치 양측으로부터의 전기적인 간섭을 막는 장벽을 제공한다. CSU는 또한 전화회사에서 테스트 목적으로 보내는 신호에 대해 루프백 반향을 할 수 있다. DSU는 회선제어를 관리하고, RS-232C, RS-449 또는 근거리통신망으로부터의 V.35 프레임들과 T-1 회선상의 TDM DSX 프레임 사이의 입출력을 변환한다. DSU는 타이밍 에러와 신호재생을 관리한다. DSU는 DTE로서 컴퓨터와 CSU 사이에서 모뎀과 같은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NICs (Network Interface Card)

- NIC는 호스트에서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담당한 인터페이스 역할을 하는 장치를 말한다. 이는 통상 LAN 카드를 지칭하며, 그 내부에는 RAM, DSP 칩, 호스트 버스 인터페이스 등으로 이루어지고, 궁극적으로는 데이터링크 계층 용 프로토콜을 구현한다.


ISDN (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 adapters

- 전화, 전신, 텔렉스, 데이터, 비디오텍스 등 성격이 다른 서비스를 종합적으로 취급하는 디지털 통신망.


WAPs (Wireless Access Point)

- 휴대전화나 손목시계 등의 휴대용 단말 통신 프로토콜이다. Ericsson사, Motorola사, Nokia사, Unwired Planet사(현재는Openwave Systems사)에 의해 설립 된 WAP Forum에 의해 책정되었다. 무선구간에서는 데이터를 압축하여 전송 하는 등, 적은 리소스(자원)과 느린 전송속도로도 효율성 있게 통신을 할 수 있도록 꾀해져 있다. WAP Forum에서는 WAP으로 송/수신 되는 컨텐츠를 기술하기 위한 태그부가 언어 WML도 규정하고 있다.


(10). Modems

- 모뎀은 컴퓨터에서 나가는 디지털 신호를 전화회선을 통해 보낼 수 있도록 아날로그 신호로 바꾸고(변조), 들어오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바꾸어주는(복조) 장치를 말한다.


(11). Transceivers (media converters)

- 트랜시버는 전송기(transmitter)와 수신기(receiver)를 하나의 패키지에 합한 것이다. 이 용어는 휴대폰이나 무선전화기, 휴대용 무전기 등과 같은 무선 전송장치들에 적용되며, 아날로그나 디지털 신호를 송신하고 수신할 수 있다. 그러나 이 용어가 이따금 케이블이나 광케이블 시스템의 송수신기와 관련하여 사용될 때도 있다.


(12). Firewalls

-- 인터넷에 인터넷 프로토콜(IP)로 접속되어 있는 네트워크를 불법적인 침입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게이트웨이에 설치되는 접속 제한. 인터넷에서는 한쪽 방향의 접속이 가능하면 역방향의 접속도 가능하기 때문에 IP로 접속되어 있는 네트워크는 외부에서 접속이 가능하게 된다. 접속을 제한함으로써 보안을 어느 정도 확보할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는 네트워크 간의 IP 패킷 전송을 차단하는 방법, 특정의 애플리케이션에 의한 패킷만을 전송하도록 하는 방법 등이 있다.

prev"" #1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