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 다음의 논리(logical)또는 물리(physical)네트워크 토폴리지에 주어진 그림, 약도 또는 설명을 알아보라.
● 토폴로지란(topologies)? - 통신망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몇 가지 측면에서 고려해야 한다. 컴퓨터와 케이블의 위치 그리고 연결 하드웨어 장비가 요구되는데 이런 통신망 디자인에 관련된 문제를 네트워크 토폴로지라고 한다.
․ Star : 이 방식은 중심에 접속장치를 두고 이 접속장치에서 각 노드들을 직접 연결한 방식
주변 노드들이 통신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중앙 노드를 거쳐야 한다. 따라서 중앙 노드의 신뢰성과 성능이 전체 시스템을 좌우 한다.
․ Bus : 주로 Ethernet방식의 LAN 환경에서 사용되며, 특징은 각 장치가 한 줄의 긴 케이블에 모두 물려 있는 방식을 말한다.
이 방식에서는 여러 노드가 하나의 선을 함께 사용하기 때문에(CSMA/CD) 각 노드들이 동시에 데이터를 전송할 경우 충돌이 발생할 수 있다.
․ Mesh : 완전형이라고도 불린다. 여러 개의 노드(예:컴퓨터)들이 망에 존재하는 모든 노드와 직접 연결되는 방식이다. 가장 완벽한 네트워크 방식이지만, 과도한 비용이 들기 때문에 특별한 경우가 아니면 사용되지 않는다.
노드(또는 스테이션이라고도 함)가 N개일 때 연결노드 수는 N(N-1)/2 이다.
․ Ring : 노드들의 연결 모양이 순환 구조를 이루고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 데이터 전송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서 링의 일정한 방향으로, 노드의 순서가 순차적으로 정해진다.
그 순서에 따라 각 노드들은 네트워크 선에 데이터를 보낼수 있다. 여기서는 토큰링이라는 프로토콜이 사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