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STORY 바로가기
Candle
BLOG main image

Are you passionate? You lead.!

전체 (132)
네트워크 (13)
네트워크+ -ComTia- (11)
Unix(Solaris) (1)
리눅스(Redhat, Fedora) (6)
재테크 (13)
★ITnews★ (14)
대회, 컨퍼런스 등.. (7)
자격증(Net,Server등) (6)
잡동사니 (32)
나만의 콘서트 (0)
My Story (19)
책을 말하다. (9)
Visitors up to today!
Today hit, Yesterday hit
daisy rss
tistory 티스토리 가입하기!
'네트워크+'에 해당되는 글 3건
2008. 2. 4. 11:19
 

1.6 다음의 네트워크 구성요소들의 목적, 특징과 기능들을 확인하라.

Hubs

- 멀티포트 & 리피터 물리계층에 포함되어있는 장비

장점 - 싸다, 라우터와 달리 별다른 설정이 필요 없다.

단점 - 콜리전 도메인 영역 안에 있다.

-- 구내 정보 통신망(LAN) 전송로의 중심에 위치하여, 바큇살 모양으로 단말 장치를 접속하는 형태의 전송로 중계 장치로 데이터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방향으로부터 한곳으로 모이는 장소로서, 들어온 데이터들은 다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방향으로 전달되는 장치(OSI 1계층 물리)

Switches

- 멀티포트 허브의 단점을 보안 하고자 나온 장비이다. 특징으로는 각 포트마다 다른 콜리전 도메인을 갖기 때문에 콜리전(충돌)이 발생하지 않아, 여러대의 장비가 동시에 통신이 가능하다.

데이터 링크 계층에 포함되어있는 장비

장점 - 콜리전 도메인이 포트마다 다르다, 라우터와 달리 별다른 설정이 필요 없다.

단점 - 많이 싸지긴 했지만 허브보다 비싸다

-- 스위치는 루트, 즉 보다 명확히 말하면, 인접한 네트웍 지점 중 어디로 데이터가 보내져야하는지를 결정할 수 있는 장비인 라우터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네트웍과, 루트를 어떻게 결정해야하는지에 관한 지식을 요구하는 라우터보다, 스위치가 훨씬 단순하고 더 빠르게 동작하는 장치이다. (OSI 2계층 데이터 링크)

Bridges

- 스위치의 원조

특징으로는 스위치라는 장비가 나오기 전에 나왔기 때문에 개념적으로는 거의 비슷하지만 다른점 으로는 포트가 2개 이하라는 것이다.

장점 - 콜리전 도메인이 포트마다 다르다, 라우터와 달리 별다른 설정이 필요 없다.

단점 - 시대적 흐름에 사라지고 있다.

-- 하나의 랜을 이더넷이나 토큰링과 같이 서로 같은 프로토콜을 쓰고 있는 다른 랜과 연결시켜주는 제품을 말하며, 각 랜에 연결되어 있는 스테이션들은 프로토콜을 바꾸지 않고서도 랜이 확장되는 혜택을 받을 수 있게 된다. 브리지를, 당신이 누군가에게 보낸 메시지에 대해 같은 건물 내에 있는 랜으로 보내야할지, 혹은 길 건너 다른 빌딩 내의 랜으로 보내야할지를 판단하는 장치라고 생각해도 좋다. 브리지는 랜 상의 각 메시지들을 조사한 다음, 같은 랜으로 보내야할 메시지는 받아들이고, 연결되어 있는 다른 랜으로 보내야 할 것들은 넘겨주는 식으로 동작한다. (OSI 2계층 데이터 링크)

Routers

- 동일한 전송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분리된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장치로 네트워크 계층간을 서로 연결하고, 브로드캐스트(네트워크) 영역을 나눠줍니다. 라우터는 브리지가 가지는 기능에 추가하여 경로 배정표에 따라 다른 네트워크 또는 자신의 네트워크 내의 노드를 결정하고, 여러 경로 중 가장 효율적인 경로를 선택하여 패킷을 보낸다. 라우터는 흐름제어를 하며, 인터네트워크 내부에서 여러 서브네트워크를 구성하고, 다양한 네트워크 관리 기능을 수행한다.

브리지와 라우터의 차이점을 몇가지 살펴보면, 라우터는 네트워크 계층까지의 기능을 담당하고 있으면서 경로 설정을 해주는 반면, 브리지는 데이터링크 계층까지의 기능만으로 목적지 주소에 따른 선별 및 간단한 경로 결정을 한다. 그리고 라우터는 IP로 목적지를 결정, 브리지는 MAC어드레스로 목적지를 결정한다. (OSI 3계층 네트워크층)

Gateways

- 게이트웨이는 일반적으로 프로토콜을 달리하는 두 개의 네트워크(망) 간에 또는 두 망의 통신계층 간에 이종 프로토콜의 변환기능을 수행하는 장치/관문을 말한다. 즉, 두개 이상의 이질적인 망을 연결 키는 개체(entity)를 가리키는 매우 일반적인 용어이다.즉, 게이트웨이는 다른 네트워크로 들어가는 입구 역할을 한다고 생각하면 된다.

 라우팅의 관점에서 보면, 인터넷은 많은 게이트웨이 노드들과 호스트 노드들로 구성된 네트워크라 할 수 있는데, 네트워크 사용자들의 컴퓨터들과 웹페이지와 같은 콘텐츠를 제공하는 컴퓨터들이 바로 호스트 노드들이며, 일반 회사의 네트워크 내에서 트래픽을 통제하는 컴퓨터들이나, 인터넷 서비스제공자들의 컴퓨터가 바로 게이트웨이 노드들이다.

한 회사의 네트워크 에서는 게이트웨이 노드 역할을 하는 컴퓨터가 프록시 서버나 방화벽 서버의 역할을 함께 수행하는 경우도 종종 있다. 게이트웨이는 라우터나 스위치 등의 사용을 필요로 한다.

(OSI 4계층 트랜스포트)


※프록시 서버- 우리말로 하면 대리인, 중개인쯤 된다. 프록시 서버를 쓰게 되면 인터넷에 접속하여 사이트의 내용물을 볼 때 본인이 직접 접속하는 것이 아니라 프록시 서버를 거쳐서 들어오게 된다.

장점 - 개인PC -> 프록시서버 -> 웹 으 과정을 거치기 때문에 보안상 유리하다.

프록시서버에 저장된 캐쉬로 사이트에 접속하기 때문에 자주 가는 사이트의 경우엔 더 빠른 인터넷 이용이 가능하다.

단점 - 서버의 주소가 자주 바뀌고 처음 가는 사이트나 자주가지 않는 사이트 방문 시 느리다.


CSU / DSU (Channel Service Unit / Data Service Unit)

- 근거리통신망에 사용되는 통신기술로부터 나온 디지털 데이터 프레임들을 광역통신망에 보낼 수 있도록 적절한 프레임으로 변환하는 외장형 모뎀 크기의 하드웨어 장치이다. 예를 들어, 만약 자신의 집에서 웹 관련 비즈니스를 하려면 T-1 정도의 디지털 전용회선을 전화회사로부터 빌려야하는데, 이때 자신의 집과 전화회사에 각각 1개씩의 CSU/DSU를 설치해야한다. CSU는 광역통신망으로부터 신호를 받거나 전송하며, 장치 양측으로부터의 전기적인 간섭을 막는 장벽을 제공한다. CSU는 또한 전화회사에서 테스트 목적으로 보내는 신호에 대해 루프백 반향을 할 수 있다. DSU는 회선제어를 관리하고, RS-232C, RS-449 또는 근거리통신망으로부터의 V.35 프레임들과 T-1 회선상의 TDM DSX 프레임 사이의 입출력을 변환한다. DSU는 타이밍 에러와 신호재생을 관리한다. DSU는 DTE로서 컴퓨터와 CSU 사이에서 모뎀과 같은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NICs (Network Interface Card)

- NIC는 호스트에서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담당한 인터페이스 역할을 하는 장치를 말한다. 이는 통상 LAN 카드를 지칭하며, 그 내부에는 RAM, DSP 칩, 호스트 버스 인터페이스 등으로 이루어지고, 궁극적으로는 데이터링크 계층 용 프로토콜을 구현한다.


ISDN (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 adapters

- 전화, 전신, 텔렉스, 데이터, 비디오텍스 등 성격이 다른 서비스를 종합적으로 취급하는 디지털 통신망.


WAPs (Wireless Access Point)

- 휴대전화나 손목시계 등의 휴대용 단말 통신 프로토콜이다. Ericsson사, Motorola사, Nokia사, Unwired Planet사(현재는Openwave Systems사)에 의해 설립 된 WAP Forum에 의해 책정되었다. 무선구간에서는 데이터를 압축하여 전송 하는 등, 적은 리소스(자원)과 느린 전송속도로도 효율성 있게 통신을 할 수 있도록 꾀해져 있다. WAP Forum에서는 WAP으로 송/수신 되는 컨텐츠를 기술하기 위한 태그부가 언어 WML도 규정하고 있다.


(10). Modems

- 모뎀은 컴퓨터에서 나가는 디지털 신호를 전화회선을 통해 보낼 수 있도록 아날로그 신호로 바꾸고(변조), 들어오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바꾸어주는(복조) 장치를 말한다.


(11). Transceivers (media converters)

- 트랜시버는 전송기(transmitter)와 수신기(receiver)를 하나의 패키지에 합한 것이다. 이 용어는 휴대폰이나 무선전화기, 휴대용 무전기 등과 같은 무선 전송장치들에 적용되며, 아날로그나 디지털 신호를 송신하고 수신할 수 있다. 그러나 이 용어가 이따금 케이블이나 광케이블 시스템의 송수신기와 관련하여 사용될 때도 있다.


(12). Firewalls

-- 인터넷에 인터넷 프로토콜(IP)로 접속되어 있는 네트워크를 불법적인 침입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게이트웨이에 설치되는 접속 제한. 인터넷에서는 한쪽 방향의 접속이 가능하면 역방향의 접속도 가능하기 때문에 IP로 접속되어 있는 네트워크는 외부에서 접속이 가능하게 된다. 접속을 제한함으로써 보안을 어느 정도 확보할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는 네트워크 간의 IP 패킷 전송을 차단하는 방법, 특정의 애플리케이션에 의한 패킷만을 전송하도록 하는 방법 등이 있다.

2008. 1. 15. 14:01
 

1.5 다음의 미디어 타입과 기술자(규약?), 그들의 사용법을 알아보라.

① Category 3, 5, 5e, and 6

카테고리1 : 전통적인 전화선으로 음성급 정도에 사용한다.


카테고리2 : 4 Mbits/sec 정도의 데이터 전송능력을 가지고 있는 케이블.


카테고리3 : 10BASE T 네트워크에 사용되는 케이블입니다. 전에는 UTP 케이블 이라고 하면 바로 이 케이블을 이야기 할 정도로 일반적인 케이블이었다. 최대 10Mbps 속도까지 전송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10Mbits/sec의 Ethernet 10BASE-T, 4Mbits/sec Token-Ring 방식에서 사용한다. 현재 사용 안함.


카테고리4 : 토큰링 네트워크에 사용되는 케이블입니다. 최대 16Mbps의 데이터 전송능력을 가지고 있다.


카테고리5 : 100Mbps를 지원하는 FastEthernet용으로 사용된다. 기가비트표준이 완성되면서 이제는 이 케이블로도 기가비트속도로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게 되었다.

100BASE-TX 등에서 사용


카테고리5e : 카테고리5가 2페어를 사용하는 100Base-T 전송 방식이고, 이에 반해 카테고리 5E는 기가비트 이더넷과 같이 2페어 이상, 즉, 4페어를 사용해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입니다. 즉, 카테고리 5나 카테고리 5E나 모두 100MHz의 주파수 대역을 갖고 있지만, 카테고리 5는 반이중 방식을 채택하고 있기 때문에, 실제로는 이 주파수 대역을 한 페어에서 50MHz씩 나눠 사용하게 되므로 그만큼 성능이 저하됩니다. 하지만 카테고리 5E는 한 페어에서 송신과 수신이 모두 가능하기 때문에 주파수 대역을 분할할 필요가 없이 100MHz를 모두 사용할 수 있습니다. 총 4페어이기 때문에 카테고리 5E는 결국 400MHz의 통신이 가능합니다.

※반이중방식 - 쉽게 설명해 군대서 사용하는 무전기식 방식


카테고리6 : 카테고리6는 카테고리 5나 5E와 비교할 때 최소한 2배 이상 성능이 증가한 것입니다. 최대속도는 200-250Mhz입니다. 카테고리6는 10기가비트 이더넷을 지원하는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으며, 625MHz 대역 지원에 대한 표준이 현재 진행 중 입니다.


② UTP(Unshielded Twisted Pair)

 Unshield(감싸지 않았다.) TP 케이블을 말한다. TP란 Twisted Pair로 꼬여있는 케이블이라는 것이고, 감싸지 않은 것 은 절연체를 케이블 주변에 감싸지 않았다는 것이고 상대적으로 STP(Shielded Twisted Pair)가 성능이 더 좋지만, 기존에 UTP로 구성된 네트워크가 많았기 때문에 UTP 중심으로 발전하게 되었다.


③ STP(Shielded Twisted Pair)

케이블이 절연체롤 감싸여 있는 만큼 외부의 충격이나, 잡음에 강하기 때문에, UTP케이블 보다 빠르고, 안전하다. 그 대신 케이블 절연체가 감싸고 있는 만큼 비싸다.

주로 토큰링 방식과 일불 사무실용으로 사용 된다.





④ Coaxial cable

사용자 삽입 이미지
 

 



구리선이 절연체에 감싸여있다. 절연체는 신호의 교란을 방지하고, 외선을 그물 모양으로 둘러싼 것은 인접한 회선과의 차폐 역할을 한다. 용량이 커서 음성 회선 1만 개를 동시에 보낼 수 있으며, 장거리 전화망, 유선 TV, 구내 정보 통신망(LAN) 등에 사용된다. 특히 LAN에서는 전송 속도가 빠르고 용량이 커서 대부분의 LAN에서 이를 사용하고 있다. 특징으로는 아날로그신호 와 디지털신호 모두를 전송할 수 있는 매체이다.

CATV에서는 아날로그 신호를, 근거리통신망에서는 주로 디지털 신호를 전달한다.

동축케이블은 10 Mbps 이상의 정보 전송량을 갖는데, 중앙의 구리선에 흐르는 전기신호는

그것을 싸고 있는 외부 구리 망 때문에 외부의 전기적 간섭을 적게 받고,

전력손실이 적어 고속 통신선로로 많이 이용되고 있다.

또 동축케이블은 바다 밑이나 땅속에 묻어도 그 성능에 큰 지장이 없다.

값은 광섬유에 비해서는 싸지만, 전화선보다는 훨씬 비싸다.


⑤ SMF(Single Mode Fiber)

Single Mode Fiber(싱글모드 광섬유)란 광선을 단일 전송하기 위해 설계된 광섬유로 멀티모드 광섬유(Multi mode fiber)에 비해 데이터 손실이 적어 비교적 장거리 신호전송에 사용 된다. 싱글모드는 주로 캠퍼스 백본(Campus Backbone)으로 사용되고 있다.

 전송 매체로써 광섬유(optical-fiber)를 사용한다는 것은 일반 구리선을 사용할 때에 비해 가격이 비싸다는 것과 설치/유지/보수가 어렵다는 것 등 단점도 있지만, 여러가지 면에서 장점을 갖는다. 예를 들어, 광섬유는 전기신호가 아닌 빛을 통해 데이터를 전달하기 때문에 태핑(tapping)이 어렵다. 그만큼 데이터의 안전성이 증가하게 된다. 그리고 내구성 면에서 훨씬 유리할 뿐 아니라, 광섬유 고유의 고속 전송을 가능케 한다. 

                  ㅇ 모드간 분산이 없기 때문에 MMF(다중모드 광섬유)에 비해 넓은 대역폭을 가짐
                  ㅇ 코어 반경이 작으나 (약 9μm), 제조 및 접속은 다소 어려움
                  ㅇ 손실 및 분산(Dispersion) 특성이 우수하여 광대역 정거리 전송 가능
                       - 주로 색 분산에 의해서만 제한을 받음
                  ㅇ 1.5 파장대에서 색분산 값이 커져서 10Gbps 이상의 경우 분산 보상이 필요
                       - 이 경우 분산보상 광섬유(DCF) 사용

⑥ MMF(Multi Mode Fiber)

하나의 코어 내에 약간씩 다른 반사각을 가진 광선을 동시에 전송할 수 있도록 설계된 광케이블을 말한다. 다중모드광섬유(MMF)는 가격이 단일모드 광섬유(SMF)에 비해 저렴하고 특히 광전변환을 위한 소자의 가격이 저렴하다. 빛의 분산이 많이 생겨 먼거리의 전송이 어려운 점을 개선하기 위해 Graded Index Fiber의 기술을 개발하여 빛의 분산을 최대한 줄임으로써 구내 통신용의 간선계에서 고속 데이타 전송을 위해 적용되고 있다.

싱글모드에 비해 멀티모드는 전송 거리가 짧고 데이터 손실이 많아서 비교적 소규모의 네트워크 구성에 쓰인다. 
               ㅇ 구내통신의 간선계에 주로 적용된다. 
               ㅇ 코어 직경의 크기, 입사 광원의 파장, 개구수에 따라 도파되는 광신호의 모드 수가
                  달라진다. 한 예로 싱글 모드에서 1개의 모드를 가지고 있을 조건인 경우에 50μm의
                  코어 크기를 가지고 있는  다중 모드의 광섬유는 11개의 모드가 형성된다.
 
              ㅇ 현재 주로 사용하는 멀티모드 광섬유의 코아의 직경은 62.5 μm이지만 전송거리를
                  높이기 위해  코아의 직경이 50 μm인 광섬유도 사용하고 있다.

2007. 12. 5. 22:15
 

1.2 802.2(Logical Link Control), 802.3(Ethernet), 802.5(token ring), 802.11(wireless), and FDDI(Fiber Distributed Data Interface) 네트워킹 테크놀러지들의 포함한 주요 특징을 명확히 설명하라.

․ Speed

․ Access method (CSMA/CA(Carrier Sense Multiple Access/Collision Avoidance) and    CSMA/CD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Collision Detection))

․ Topology

․ Media



★ 802.2 : IEEE 802.2는 IEEE LAN 표준안에서 LLC 하부 계층을 정의하는 부분이다. IEEE 802.2는 에러를 보정하고 프레임을 만들고 흐름제어를 수행하고 네트워크 계층에 서비스를 제공한다.

 IEEE 802.2는 반송파 동시 공동 이용/충돌 탐지(CSMA/CD), 토큰 버스, 토큰 링 등 모든 매체 접근 제어 표준에 공통적으로 적용된다.(논리링크제어(LLC))

사용자 삽입 이미지

                              <802.2 LLC>

- 2 계층 관련 서비스 : 회선 제어 부계층은 데이터국(노드) 간의 올바른 데이터 전송을 위한 전송 순서 제어, 재송신 제어, 흐름 제어, 오류 회복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부분입니다.

- 3 계층 관련 서비스 : LLC는 서비스 접근점(LSAP)을 통하여 무확인 무연결형 서비스, 연결형 서비스, 확인 무연결형 서비스를 제공함.

- 이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LLC 프로토콜은 그 기능과 형식이 몇 가지 예외를 제외하고는 개방형 시스템 간 상호 접속(OSI) 표준 링크 제어 프로토콜인 HDLC와 비슷하다. IEEE 802.2는 CSMA/CD, 토큰 버스, 토큰 고리형 등 모든 매체 접근 제어 표준에 공통적으로 적용.


★ 802.3 : IEEE 802.3은 IEEE LAN 표준안에서 MAC계층과 물리계층을 정의하는 표준입니다. IEEE 802.3은 다양한 데이터 속도와 다양한 물리계층을 지원하면서, CSMA/CD방식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IEEE 802.3의 확장으로 고속 이더넷이 있습니다.(CSMA/CD, Ethernet)


★ 802.5 : IEEE 802.5는 IEEE LAN 표준안에서 MAC계층과 물리계층을 정의하는 표준입니다. IEEE 802.5는 4Mbps, 16mbps에서 STP와 UTP 선 연결위에, 토큰 패싱 액서스를 지원합니다.(토큰링)


★ 802.11

 802.11(wireless) - 1~2Mbps/sec

 802.11a(wireless) - 54Mbps/sec (5GHz 주파수대역)

 802.11b(wireless) - 11Mbps/sec

 802.11g(wireless) - 54Mbps/sec (24GHz 주파수대역)


★ FDDI(Fiber Distributed Data Interface)

- 근거리통신망의 광케이블 데이터전송의 표준이다. 200Km 까지 거리를 지원하며, 100Mbps 의 속도를 지원한다.


★ Access method

CSMA/CD(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with Collision Detection)

- traditional Ethernet(IEEE802.3에 정의)에서 사용되는 access method

- traditional Ethernet의 station들은 물리적으로 bus나 star topology로 연결될 수 있지만 logical      topology는 항상 bus이다. 즉 medium(네트워크 선등)은 station(컴퓨터등) 사이에 공유되며 한번에 한   station만 medium을 사용할 수 있다.

- 한 station이 보낸 프레임은 medium에 연결되어 있는 모든 station들에 전달되며 도착한 station에    서 실제 목적지인지 아닌지를 보고 그 프레임을 받아들일지 버릴지 결정한다.

 CSMA / CD는 한 번에 한 station만 medium을 사용하도록 하기 위해 고안된 방법이다.

1. 모든 station은 medium에 대해 동등한 권한을 갖고 있다(multiple access).

2. 보낼 프레임이 있는 station들은 먼저 medium을 listen 한다(sense). medium에 데이터가 없으면 전송을 시작한다(carrier sense).

3. 우연히 동시에 두 station이 medium이 비어 있는 것을 보고 전송을 시작했을 수도 있다. 이 때는 collision이 발생한다. station은 프레임을 보낸 후에도 계속 listen하고 있으며, collision이 발생하면 모든 station이 감지하게 된다. collision이 발생하면 프레임을 보냈던 station은 jam signal을 보내어 라인 상의 데이터를 파괴하고 임의의 시간 동안 기다린 후 다시 전송을 시도한다.


(..쉽게 말해서 버스형(하나의 선)에 연결된 컴퓨터들이 서로 눈치를 보다가, 선에 아무런 데이터신호가 없는 것을 확인한 후에 자신의 데이터신호를 보내는 방식이다. 만약 데이터신호를 2대 이상의 컴퓨터가 동신에 보내게 되면 충돌(Collision)이 발생하게 되고, 충돌을 감지(Detection)한 컴퓨터는 일정한 시간(매우 짧다)후에 다시 데이터신호를 보내게 되는 방식이다.)


CSMA/CA(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with Collision Avoidance)

- 무선 랜(IEEE802.11)에서 사용되는 access method이다.

- CSMA/CD의 multiple access와 carrier sense는 CSMA/CA에도 적용된다.

- 그러나 hidden terminal problem(전송을 시작한 두 station 사이에 산이나 장애물이 있어 collision이 발생하더라도 감지하지 못하는 문제) 때문에 Collision Avoidance(충돌 회피)라는 방법을 대신 사용한다.

- 무선 랜 환경을 위한 접근방식 중 한가지로 무선은 물리적인 라인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Avoidance(회피) 즉 알아서 피해가면서 통신하게 하는 메커니즘이다.

1. medium이 사용되지 않다는 것을 감지한 후, 전송 station은 RTS(Request To Send)라는 프레임을 보낸다. 이 메시지 내에는 medium을 얼마 동안 사용할 지에 관한 정보가 들어 있다.

2. RTS를 받은 수신 station은 CTS(Clear To Send) 메시지를 모든 station에 보내어 전송 요청을 승인한다.

3. 전송 station은 데이터를 전송한다.

4. 수신 station은 데이터를 받았음을 알린다.


★ Topology - 통신망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몇 가지 측면에서 고려해야 한다. 컴퓨터와 케이블의 위치 그리고 연결 하드웨어 장비가 요구되는데 이런 통신망 디자인에 관련된 문제를 네트워크 토폴로지라고 한다.

prev"" #1 next